Abstract
패션 스타일링은 주어진 목적이나 콘셉트에 맞게 관련 요소를 조합하여 패션 이미지를 창출하는 의사 결정 및 기획 과정이다. 디지털 시대의 개인 패션 스타일링은 인공지능과 IT기술의 진화로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인 패션 큐레이핑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. 이 서비스는 개인의 체형 및 성향,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여 상황과 맥락에 맞는 패션 스타일링을 제공하는 것이다. 의생활을 영위하는 개인 역시 TPO에 맞으면서 자신과 잘 어울리는 스타일을 연출하려면 실루엣을 이루는 의복의 종류, 색채, 재질, 무늬 등 다양한 요소를 이해하고 디자인의 원리에 따라 조화롭게 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.
패션제품은 착용과 관리가 반복되는데, 그 과정에서 소비자는 잘못된 방법으로 제품을 비효율적으로 관리하거나 품질 손상을 초래하기도 한다. 따라서 패션제품을 최적의 성능으로 긴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패션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. 패션관리는 세탁·건조·다림질·정리와 보관뿐만 아니라 용도에 적합하게 착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개념이다.
본 교재는 합리적인 의생활을 위한 패션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, 패션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의류학 관련 기본 지식을 제공하는데 목표를 둔다.
목차
제 1 장 패션과 기호, 상징
1.1 패션의 정의와 특성
1.2 기호체계와 패션
1.3 상징적 상호작용과 패션
제 2 장 사회 속의 패션
2.1 패션과 대인지각
2.2 패션과 인상형성
2.3 패션과 사회계층
2.4 패션과 역할
제 3 장 패션과 개인
3.1 패션과 인간행동
3.2 패션과 자아개념
3.3 패션과 개성·동조성
3.4 패션과 성격
3.5 패션과 욕구
제 4 장 패션과 가치 표현
4.1 패션과 가치·태도
4.2 패션과 친환경 이슈
제 5 장 디지털 시대와 패션 스타일링
5.1 디지털 시대의 패션
5.2 디지털 시대의 패션 스타일링
제 6 장 패션 스타일링의 요소 I - 실루엣
6.1 실루엣
6.2 의복의 이해
6.3 액세서리
제 7 장 패션 스타일링의 요소 II - 색
7.1 색채의 이해
7.2 색채 조화의 이해
7.3 배색의 활용
제 8 장 패션 스타일링의 요소 III - 질감
8.1 질감의 이해
8.2 질감의 활용
8.3 무늬의 이해
8.4 무늬의 활용
제 9 장 패션 스타일링의 원리와 활용
9.1 패션 스타일링의 원리
9.2 패션 스타일링의 활용
제 10 장 패션 스타일링의 실제
10.1 패션 성향과 스타일링
10.2 라이프스타일과 스타일링
10.3 옷장 큐레이션
제 11 장 패션관리와 품질
11.1 패션제품의 품질과 패션관리
11.2 패션제품의 품질표시
11.3 패션제품의 소비자 분쟁
제 12 장 패션소재의 종류와 성능
12.1 패션소재의 성능
12.2 섬유의 종류와 성질
12.3 신소재 및 가공 소재의 종류와 특징
제 13 장 패션제품의 세탁
13.1 세탁 전 관리
13.2 얼룩빼기
13.3 세탁
제 14 장 패션제품의 건조와 다림질
14.1 패션제품의 건조
14.2 패션제품의 구김과 다림질
14.3 푸새
제 15 장 패션제품의 보관과 손상
15.1 분류와 정리
15.2 보관
15.3 손상과 예방
참고문헌
그림출처
패션제품은 착용과 관리가 반복되는데, 그 과정에서 소비자는 잘못된 방법으로 제품을 비효율적으로 관리하거나 품질 손상을 초래하기도 한다. 따라서 패션제품을 최적의 성능으로 긴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패션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. 패션관리는 세탁·건조·다림질·정리와 보관뿐만 아니라 용도에 적합하게 착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개념이다.
본 교재는 합리적인 의생활을 위한 패션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, 패션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의류학 관련 기본 지식을 제공하는데 목표를 둔다.
목차
제 1 장 패션과 기호, 상징
1.1 패션의 정의와 특성
1.2 기호체계와 패션
1.3 상징적 상호작용과 패션
제 2 장 사회 속의 패션
2.1 패션과 대인지각
2.2 패션과 인상형성
2.3 패션과 사회계층
2.4 패션과 역할
제 3 장 패션과 개인
3.1 패션과 인간행동
3.2 패션과 자아개념
3.3 패션과 개성·동조성
3.4 패션과 성격
3.5 패션과 욕구
제 4 장 패션과 가치 표현
4.1 패션과 가치·태도
4.2 패션과 친환경 이슈
제 5 장 디지털 시대와 패션 스타일링
5.1 디지털 시대의 패션
5.2 디지털 시대의 패션 스타일링
제 6 장 패션 스타일링의 요소 I - 실루엣
6.1 실루엣
6.2 의복의 이해
6.3 액세서리
제 7 장 패션 스타일링의 요소 II - 색
7.1 색채의 이해
7.2 색채 조화의 이해
7.3 배색의 활용
제 8 장 패션 스타일링의 요소 III - 질감
8.1 질감의 이해
8.2 질감의 활용
8.3 무늬의 이해
8.4 무늬의 활용
제 9 장 패션 스타일링의 원리와 활용
9.1 패션 스타일링의 원리
9.2 패션 스타일링의 활용
제 10 장 패션 스타일링의 실제
10.1 패션 성향과 스타일링
10.2 라이프스타일과 스타일링
10.3 옷장 큐레이션
제 11 장 패션관리와 품질
11.1 패션제품의 품질과 패션관리
11.2 패션제품의 품질표시
11.3 패션제품의 소비자 분쟁
제 12 장 패션소재의 종류와 성능
12.1 패션소재의 성능
12.2 섬유의 종류와 성질
12.3 신소재 및 가공 소재의 종류와 특징
제 13 장 패션제품의 세탁
13.1 세탁 전 관리
13.2 얼룩빼기
13.3 세탁
제 14 장 패션제품의 건조와 다림질
14.1 패션제품의 건조
14.2 패션제품의 구김과 다림질
14.3 푸새
제 15 장 패션제품의 보관과 손상
15.1 분류와 정리
15.2 보관
15.3 손상과 예방
참고문헌
그림출처
Translated title of the contribution | Styling and Management in Fashion |
---|---|
Original language | Korean |
Title of host publication |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|
Place of Publication | Seoul |
Chapter | 5-10 |
Pages | 104-247 |
Number of pages | 144 |
Publication status | Published - 25 Jul 2019 |